우리나라의 대기업집단 지정 기준은 기업 규모뿐만 아니라 경제 환경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재조정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과 2025년 사이에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상출집단)의 기준 변경이 실제 적용되었고 공시대상기업집단에 대해서도 기준 개정 논의가 본격화되며 많은 변화의 조짐을 보였습니다. 이번 섹션에서는 두 연도의 제도 변화 및 지정 현황을 비교해 그 큰 흐름을 정리해보겠습니다.가. 대기업집단 지정 기준: 고정에서 유동으로기존에는 일정 자산 규모를 넘는 기업을 대기업집단으로 지정하는 정적 기준이 적용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공시대상기업집단은 2009년부터 자산총액 5조 원 이상이라는 기준이 15년 넘게 유지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2024년부터 상출집단에 대해 명목 GDP의 0.5% 이상이라는 '비율 ..
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은 낯설고 복잡할 수 있는 주제,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지정하는 공시대상기업집단'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요즘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종종 등장하는 용어인데요, 무엇을 의미하는지,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1. 공시대상기업집단의 정의공시대상기업집단은 공정거래법상 자산 총액 5조 원 이상의 기업집단을 의미합니다. 이 집단에 속한 회사는 대규모 내부거래, 비상장회사의 중요사항, 주식 소유 현황 등을 공시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는 기업집단의 소유지배구조를 개선하고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공시대상기업집단은 매년 4월 말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하며, 지정된 기업집단은 공시의무 외에도 총수 일가 사익편취 규제, 상호출자금지, 순환출자..